산란 습성 이해를 위한 노력(장소 선택)

산란 습성 이해를 위한 노력(장소 선택)

알을 낳는 암컷의 낮은 회귀율과 목적지
일반적으로 암컷 거북이는 알을 낳았던 해변을 여러 차례 다시 찾아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하마 해변을 찾아온 거북이는 현재 산란기나 다음 산란기에 다시 찾아오는 경우가 드뭅니다. 2011년부터 3년 동안 오하마 해변에 올라왔던 암컷 거북 8마리의 등갑에 위성 태그를 부착하고, 이들의 이동을 추적했습니다. 이들 중 6마리가 오하마 해변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곳에서 계속 알을 낳았습니다. 이로써 이 거북이들이 오하마 해변으로 돌아가지 않기로 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돌아오지 않는 이유
바다거북의 산란 장소에서 꼭 필요한 조건 중 하나는 어둡고 조용한 환경입니다. 히와사 마을은 해변과 가깝지만, 지역 신사를 둘러싼 소나무 숲과 나무들이 마을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점차 소나무 숲이 사라지면서 마을로부터의 빛이 해변까지 새어나오게 됐습니다. 또한 건물과 도로의 건설로 인해 해변의 고요함이 훼손됐습니다. 1970년대에 거북이의 산란이 감소하자, 마을은 해변 근처의 통행과 조명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미흡했고, 20세기 말에 이르자 마을로부터 새어나오는 빛은 더욱 밝아졌습니다.

어둡고 고요한 오하마 해변을 복원하자!
히와사는 산란하는 거북이의 회귀율을 높이기 위해 2013년 미국 플로리다에서 빛 공해 통제 분야의 권위자인 블레어 E. 위더링튼 박사를 초빙해 오하마 해변 주변의 빛 공해 문제점을 검토하고, 해변에 새어나오는 빛을 줄일 방법을 찾고자 했습니다. 우선 조명의 수부터 줄이기로 했습니다. 끌 수 없는 가로등을 위해 도쿠시마현과 지역 기업이 협력하여 2015년에 바다거북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컬러 LED 조명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지역 주민들과 대형 기관 및 시설의 협조하에 해변으로 새어나오는 빛을 줄이거나 차단할 방안을 모색하였습니다. 아직 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지만, 오하마 해변으로 거북이들이 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활동은 계속되고 있습니다.